교육학의 역사 [2]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는 교육에 대하여 논문을 작성하였지만 소실되었다. 하지만 그는 이후 플라톤의 견해를 포기하고 국가에 의해 모든 시민에게 의무화된 공통 교육을 지지했습니다. 당시에 그리스 국가에 사는 소수의 사람들은 시민으로 간주되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교육을 그리스 내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국한했습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적인 교육보다는 체육적인 교육을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퀸틸리아누스
마르크스 파비우스 퀸틸리아누스는 오라토리오 연구소에서 교육학을 발표했습니다. 퀸틸리아누스는 교육을 점진적인 것으로 표현하였고, 교수에 세 일정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퀸틸리아누스는 철학적, 수학적, 과학적 그리고 문법적 교육을 지지했습니다.
테르툴리아누스
퀸투스 셉티미우스 플로렌스 테리툴리아누스는 이교도의 교육을 모두 거부한 기독교의 학자로 이는 고대 철학자들의 거짓되고 오만한 지혜로 가는 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제롬
성 히에로니무스 혹은 성 예로니무스는 기독교 학자로 평생 동안 소녀들에 관한 교육학을 상세하게 편지로 남긴 학자입니다. 제롬은 훈련을 필요로 하는 육체를 믿지 않았기 때문에 육체를 정복하기 위해서 단식과 금욕을 주장했습니다. 제롬은 성경을 독서 자료로만 권장했습니다. 제롬은 소녀들이 사회와 교류하는 것보다 그녀의 친구들 중 한 명에게 애정을 가질 것을 지지했습니다. 제롬은 암기 대신 상아 블록으로 알파벳을 가르쳐서 놀면서 교육하는 것을 권장했습니다. 제롬은 긍정적인 교육을 지지하였습니다. 그래서 혹시 소녀들이 배우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비난보다는 칭찬과 격려를 해주길 원했습니다.
장 제르송
파리 대학교의 총장이었던 장 샤를리에 드 제르송은 어린아이들의 교육은 두려움보다는 애정에 의해 교육하는 것이 쉽다고 생각했습니다. 장 제르송은 무엇보다 학생들의 아버지가 되기 위해 노력하라고 말했습니다. 장 제르송은 페늘롱의 선구자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근대 교육의 아버지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요한 페스탈로치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는 스위스의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여러 개의 교육 기관을 설립하여 그의 혁명적인 근대 교육 원리를 설명하는 많은 작품을 썼습니다. 그의 좌우명은 '머리와 손과 마음으로 배우는 것'이었습니다.
요한 헤르바르트
요한 프리드리히 헤르바르트의 교육 철학과 교육학은 개인의 발달과 그로 인한 사회적 이익과의 상관관계를 강조했습니다. 다시 말해 요한 헤르바르트는 인간이 생산적인 시민으로서의 지위를 확립한다면 인간은 만족할 수 있다고 의견을 냈습니다. 헤르바르트주의는 헤르바르트의 이론적 관점에 기초합니다. 여기서 헤르바르트의 교육과정 중에 중요한 다섯 단계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준비, 발표, 연관성, 일반화 그리고 적용이 있습니다. 헤르바르트는 교육학은 교육자로서의 가정과 의도적인 최종 목표를 염두에 둔 특정 능력을 같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지지했습니다.
존 듀이
존 듀이의 교육학은 나의 교육학적 신조, 학교와 사회, 아이의 교육과정, 민주주의와 교육, 에블린 듀이와 함께한 내일의 학교, 경험과 교육 등 여러 작품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존 듀이가 보기에 교육의 목적은 미리 정해진 교육을 습득하는 것이 아닌 그의 잠재력과 기술을 더 큰 목표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갈고닦는 것이었습니다. 존 듀이는 학생들의 경험과 흥미를 고려하여 지식 전달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교육 구조를 지지했습니다. 존 듀이는 학습 과정에서 학생의 자세뿐만 아니라 그 과정 속에서 교사가 해야 할 역할도 생각했습니다. 그는 사전에 선택된 일연의 기술을 습득하는 것에서 교사와 학생 모두의 자율성과 비판적 사고 육성으로의 의견 차이를 생각했습니다.
파울루 프레이어
파울루 프레이어는 브라질의 교육자이자 철학자입니다. 파울루 프레이어는 비판적인 교육 운동의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파울루 프레이어의 영향력 있는 작품인 '억압받는 사람들의 교육학'으로 매우 잘 알려져 있습니다.
공자
공자는 권위란 통치하의 모든 사람들에게 구두 그리고 서면으로 된 교육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그리고 최대한 모든 방법으로 그들에게 잘해줘야 된다고 말했습니다. 공자의 가장 깊은 가르침 중 하나는 보이는 행동 규칙보다는 개인적인 모범이 더 뛰어났다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공자의 도덕적 가르침의 규칙은 지식보다는 숙련된 판단 달성, 자기 계발, 도덕적 모범의 경쟁을 강조했습니다. 유교의 전통된 가르침에서 다른 관련된 관습으로는 의식과 신체 지식의 개념, 그리고 유교적 자기 이해가 있으며 이는 서양 개인의 자아보다 더 넓은 개념화를 가지고 있습니다.